□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지속가능 회계ㆍ재정 연구센터(CAR: Center for Sustainable Public Accounting and Finance)는 회계투명성을 기반으로 행정학ㆍ경영학ㆍ경제학 등 다양한 학제적 접근과 정책대안의 형성 및 지식생산을 목적으로 설립
ㅇ 한국 사회의 투명성 제고를 통한 지속가능성을 위해 행정·경제·경영의 학제적 접근을 통한 회계, 재정 분야를 중점으로 연구
ㅇ 경제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는 민간부문의 성장동력 발굴,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견인하기 위해서는 투명성제고, 공공부문의 역할 제고, 국가재정 확보 및 지출의 변화를 통한 한국사회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연구 및 정책대안 모색
ㅇ 경제성장률 둔화에 따른 공공부문의 재정건전성 및 지속가능성 확보방안 모색을 위한 방향을 제시, 뿐만아니라 비영리부문의 회계투명성 확보와 재정 역량 강화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
□ 뉴노멀(New normal) 행정ㆍ경제환경 도래에 따른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회계투명성 확보방안 및 정책대안 마련
ㅇ 국가부채의 지속적 증가로 인한 재정 지속성 위협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국가부채 증가의 투명성 제고와 관리를 통한 재정지속성 확대를 위한 정책 대안 마련
ㅇ 한국 경제에서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 공기업 및 공공기관의 공공성을 제고하고 이를 성과에 반영하기 위한 회계기준의 마련과 투명성 제고 관련 연구 및 정책 대안 마련
ㅇ 비영리 법인 중 대학, 공익법인의 재정 독립과 지속성을 제고하기 위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투명성 제고를 통한 구성원과 국민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연구 및 정책 대안 마련
□ 공익법인의 회계 및 내부운영의 취약 조직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모니터링(평가) 시스템 및 구축 방안 연구, 비영리조직의 Governance(지배구조) 등 Best Practice를 발굴
□ 평가시스템을 통한 국민참여 확대, 구축된 Best Practice의 외부 확산 및 전문성에 기반한 이론 및 체계적인 실무 교육 콘텐츠 개발 및 교육
□ 기관, 실무 및 학계 등 전문가로 구성된 네트워크 사업을 통한 회계ㆍ재정 부문의 지속가능성 확보방안 강구
□ 수행방식
ㅇ 정책보고서 발간
ㅇ 정책 학술세미나 개최
ㅇ 비영리조직의 모니터링
ㅇ 교육콘텐츠 개발 및 교육 서비스 제공
□ 경제성장률 둔화에 따른 경제성장의 지속가능성, 한국사회의 지속가능성,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대안 모색으로 국가 정책 방향 제시에 기여
□ 공공 및 비영리 부문의 지속가능성을 목표로 하는 회계 및 재정 투명성 개선 방안과 공공부문의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한 제도 개선 방안을 위한 이론적 토대 마련
□ 공공 및 비영리 부문의 데이터 확보, 회계 및 내부운영의 투명성 지표를 개발·확산하여 국가재정 투입 분야의 투명성 확보 및 올바른 국민참여(기부 등) 확산에 기여
□ 공공 및 비영리부문의 데이터의 구축으로 행정·정책·회계·경영·경제 등 학문후속세대의 공공 및 비영리부문 연구기회의 제공과 지속적 연구환경 구축
▪ 코로나 이후의 재정 및 경제충격의 변화와 정부개입효과
▪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단체 회계투명성 제고를 위한 재무분석 연구
▪ 재정지속가능성을 위한 재정준칙 도입연구
▪ 비영리법인 회계 투명성 제고를 위한 사례개발 연구
▪ 기부단체의 투명성 현황과 분석 및 모니터링 제고 방안
▪ 국가회계기준의 적합성과 민간투자제도 개선방안